본문 바로가기
돈버는 blog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중위소득 계산

by 교차로신호등 2023. 5. 17.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정부가 저소득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제도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개요, 자격 조건, 중위소득 계산 방법, 신청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청년이 매월 10만 원씩 저축하면 정부가 10만 원을 더해주는 방식으로, 3년간 총 1.44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소득구간에 따라 추가금리나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제도는 청년의 자립과 사회참여를 촉진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도를 반영한 것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자격 조건은?

  • 만 19세 ~ 34세의 청년
  • 연소득 2.400만 원 이하,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월 50만 원 초과부터 월 200만 원 이하)
  • 가구재산이 대도시 3.5억 원, 중소도시 2억 원, 농어촌 1.7억 원 이하
  • 희망키움통장 2 지급해지자, 청년내일채움공제, 희망 두 배청년통장 등 유사자산형성지원사업 참여 중인 자 또는 지급해지자가 아닌 자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중위소득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중위소득 계산은 가구의 소득 인정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소득 인정액이란 가구원별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을 합한 금액에서 필요경비와 감면액을 뺀 금액입니다. 소득 인정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근로소득 인정액 = 근로소득 - 필요경비(근로소득의 20%) - 감면액(100만 원)
  • 사업소득 인정액 = 사업소득 - 필요경비(사업소득의 30%) - 감면액(100만 원)

예를 들어, A 가구는 부부와 자녀 두 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부는 각각 월급 150만 원과 100만 원을 받고 있고, 자녀는 학생입니다. 이 경우 A 가구의 소득 인정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부 = (150만 원 x 12개월) - (150만 원 x 12개월 x 20%) - (100만 원) = 1.500만 원
  • 모 = (100만 원 x 12개월) - (100만 원 x 12개월 x 20%) - (100만 원) = 860만 원
  • A 가구 소득 인정액 = 부 + 모 = 2.360만 원

A 가구의 소득 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보다 낮은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가구규모별 기준 중위소득을 알아야 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국민생활기본조사를 바탕으로 산출됩니다. 2021년 기준으로 가구규모별 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인가구 : 월 약 195만 원
  • 2인가구 : 월 약 325만 원
  • 3인가구 : 월 약 487만 원
  • 4인가구 : 월 약 731만 원

따라서 A 가구는 기준 중위소득보다 낮은 소득 구간에 해당되므로 청년내일저축계좌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 청년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자격 조건과 중위소득 계산 방법을 잘 확인하고 신청하여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